- 인덱스 펀드의 장점
1. 분산 투자 효과로 인해 투자 손실 위험이 낮다.
예를 들어 코스피200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는 삼성전자 등 국내의 대표적인 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업종을 대표하는 국내 기업에 투자하여 손실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목이 아닌 시장이나 업종(섹터)에 투자하는 셈이다.
2. 다른 펀드보다 관리 수수료가 낮다.
액티브펀드는 주가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얻기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 대상 기업을 발굴해야 하는 만큼 펀드 매니저의 적극적인 운용이 필수이므로 수수료가 높다. 하지만 인덱스 펀드의 경우 지정된 지수를 추종하며 수동적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다른 펀드 대비 수수료가 낮다.
- 인덱스 펀드의 단점
1. 주가지수의 수익률을 이길 수 없다.
시장의 평균 수익률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상승장에서 다른 액티브 펀드에 대비해 고수익을 올릴 수 없다. 하락장에서도 수익 방어를 할 수 없다.
2. 주가지수와 펀드 수익률 간에 괴리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앞선 글에서 설명한 추적 오차(Tracking Error)로 인해 수익률 차이가 생길 수 있다.
3. 환매 수수료
펀드는 '환매 수수료'라는 제도가 있다. 잦은 펀드 환매 방지와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 일종의 위약금이다.
보통 가입하고 나서 30일 이내에 환매하면 수익금의 70%, 90일 이내면 수익금의 30%를 떼고 원금과 수익금을 돌려준다. '3개월의 족쇄'라고 부르기도 한다. 수익이 없을때는 상관없지만 수익이 났을 경우에는 90일 이상을 보유해야 환매 수수료를 면할 수 있다. (환매수수료의 부과기준이 이익금이 아닌 환매금액인 경우도 있다.)
최근 환매 수수료를 없앤 운용사들도 있으니 가입 시 확인이 필요하다.
4. 매매 후 시차
펀드는 매매 의사를 표한 시점과 실제 매매가 이뤄지는 시점 간 며칠 차이가 있다. 환매한 날의 다음날이나 2일째 되는 날의 기준가를 적용하여 정산한다. 주가 지수가 하락했다면 그만큼 더 손해를 보게 된다.
이러한 인덱스 펀드의 단점을 보완한 ETF가 있다.
ETF란 Exchange Traded Fund, 상장 지수 펀드로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거래소에 상장되어 Exchange 거래되는 Traded 펀드 Fund이다.)
자본시장법상 정식 명칭은'상장지수 집합투자기구'이며 보통 '상장지수펀드'로 불린다.
일반 펀드는 자신이 가입한 펀드의 자산구성과 운용내역 및 수익률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고 사후적으로 볼 수밖에 없으나, ETF는 일반 펀드와는 달리 납부자산구성내역(Portfolio Deposit File, ‘PDF')을 공시하는 제도가 있어 현재의 포트폴리오를 매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펀드보다도 투명성이 높다.
시초는 1993년 미국에서 S&P500을 추종하도록 만들어진 SPDR이며, 국내에서는 2002년 10월 KOSPI200과 KOSPI50을 추종하는 4개의 ETF가 처음으로 상장됐다.
현재 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는 KOSPI200, KOSDAQ스타, KRX100 등에 투자하는 시장 대표지수 ETF를 비롯해 은행·자동차·반도체·조선 등의 섹터 ETF와 블루칩·옐로칩·고배당·가치·그린·삼성그룹·현대차 그룹 등의 테마 ETF, 국고채·통안채·회사채 등의 채권 ETF, 시장이 하락했을 때 수익을 내는 인버스 ETF, 시장 수익률의 두 배를 거둘 수 있는 레버리지 ETF, 금·원유·구리·콩 등의 원자재 ETF, 중국·브릭스·일본 등의 해외지수 ETF, 통화 ETF 등 많은 ETF가 상장돼 있다.
ETF 종목들은 운용하는 자산운용회사별로 고유한 브랜드가 종목명 앞에 붙여져 있어 원하는 운용사의 ETF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아래는 ETF 운용사 정보이다.
KRX에서 볼 수 있다.
아래는 해외 ETF 대표 운용사이다.
- 2020/09/25 - [주식 정보] - 주가 지수란 - Stock Market Index
- 2020/09/28 - [주식 정보] - 인덱스 펀드(Index Fund)와 ETF(Exchange Traded Fund) -1
인덱스 펀드(Index Fund)와 ETF(Exchange Traded Fund) -1
앞선 글에서 주가지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 주가지수에 투자하는 상품이 있다. 인덱스 펀드(Index Fund)와 ETF(Exchange Traded Fund)에 대해 알아보자. - 펀드란 특정한 목적을 위해 돈을 모으는 것��
stockgo.tistory.com
주가 지수란 - Stock Market Index
이번엔 주가 지수에 대해 알아보자. 아래는 나무 위키에 나와있는 설명이다. '주가지수'는 증권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증권의 가격 변화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증권거래소에서 발행하는 자�
stockgo.tistory.com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매매 주문 종류 -1 (보통, 시장가, 지정가) (0) | 2020.10.06 |
---|---|
인덱스 펀드(Index Fund)와 ETF(Exchange Traded Fund) -1 (0) | 2020.09.28 |
빅히트 IPO 청약 정보, 공모가 확정 (0) | 2020.09.26 |
주가 지수란 - Stock Market Index (0) | 2020.09.25 |
주식 투자의 주체 - 개인, 기관, 외국인 (0) | 2020.09.24 |